본문 바로가기
건강

뚜렛증후군의 증상 | 운동 틱, 음석 틱 등

by infsmoo 2025. 3. 18.
반응형

 

찡그린얼굴

 

뚜렛 증후군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뚜렛증후군(Tourette Syndrome, TS)은 신경발달 장애의 일종으로, 반복적이고 비자발적인 운동 및 음성 틱을 특징으로 합니다.

 

뚜렛증후군은 보통 어릴 때 발병하며, 틱의 유형과 강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뚜렛증후군의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틱의 개념과 특징
  2. 운동 틱(Motor Tic)의 종류와 증상
  3. 음성 틱(Vocal Tic)의 종류와 증상
  4. 틱의 진행 과정과 심각도
  5. 틱을 악화시키는 요인
  6. 동반 증상(Comorbidities)
  7. 마무리

 

틱의 개념과 특징

뚜렛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틱’입니다. 틱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하는 빠른 행동이나 소리입니다.

 

  • 운동 틱(Motor Tic):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틱

 

  • 음성 틱(Vocal Tic): 소리와 관련된 틱

 

틱의 시작은 경미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거나 심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긴장,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운동 틱(Motor Tic)의 종류와 증상

운동 틱은 단순 운동 틱복합 운동 틱으로 나뉩니다.

 

(1) 단순 운동 틱(Simple Motor Tic)

단순 운동 틱은 짧고 빠르게 나타나는 움직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눈 깜빡임, 코를 씰룩거리기, 어깨 으쓱하기 등이 있습니다.

 

얼굴 및 머리
- 눈 깜빡임(Blinking): 눈을 빠르게 반복적으로 깜빡이는 증상


- 눈 굴리기(Eye Rolling): 의도치 않게 눈동자를 위나 옆으로 굴리는 행동


- 찡그리기(Grimacing): 얼굴 근육을 찡그리거나 비트는 행동


- 입술 씰룩거리기(Lip Pursing or Twitching): 입술을 반복적으로 오므리거나 떨리는 증상


- 혀 내밀기(Tongue Protrusion): 갑자기 혀를 내미는 행동


- 코를 씰룩거림(Nasal Twitching): 코를 움찔거리거나 벌름거리는 행동



상체 및 손 관련 운동 틱
- 고개 돌리기(Neck Jerking): 머리를 갑자기 좌우로 돌리는 행동


- 어깨 으쓱하기(Shoulder Shrugging): 어깨를 반복적으로 으쓱하는 증상


- 팔 또는 손 흔들기(Arm or Hand Jerking): 손목이나 팔을 갑자기 흔드는 행동



하체 및 전신 운동 틱
- 다리 떨기(Leg Twitching): 다리를 갑자기 흔들거나 움찔거리는 행동


- 발 구르기(Foot Stomping): 발을 바닥에 쿵쿵 구르는 행동

 

(2) 복합 운동 틱(Complex Motor Tic)

복합 운동 틱은 여러 근육이 관여하는 복잡한 움직임으로, 점프하기, 물건 만지기, 자해 행동 등이 있습니다.

 

몸 전체를 사용하는 운동 틱
- 점프하기(Jumping): 갑자기 점프하는 행동


- 회전하기(Spinning): 몸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증상


- 무릎 꿇기(Kneeling): 갑자기 무릎을 꿇는 행동



자기 자신 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포함하는 틱
- 물건 만지기(Touching Objects or People): 특정한 물건이나 사람을 반복적으로 만지는 행동


- 자해 행동(Self-injurious Behavior, SIB): 자신을 꼬집거나 때리는 등의 행동


- 다른 사람을 때리는 행동(Hitting Others): 비자발적으로 주변 사람을 치거나 밀치는 증상



모방과 관련된 운동 틱
-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하기(Echopraxia): 본인이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하는 행동


-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때리거나 만지는 행동(Palipraxia): 자신의 특정 신체 부위를 반복적으로 만지는 행동

 

음성 틱(Vocal Tic)의 종류와 증상

음성 틱은 단순 음성 틱복합 음성 틱으로 분류됩니다.

 

(1) 단순 음성 틱(Simple Vocal Tic)

단순 음성 틱에는 목 가다듬기, 훌쩍거리기, 기침 소리 등이 있습니다.

 

소리를 내는 단순 음성 틱
- 킁킁거림(Throat Clearing): 목을 반복적으로 가다듬는 행동


- 기침 소리 내기(Coughing): 의미 없는 기침 소리를 반복하는 증상


- 훌쩍이기(Sniffing): 콧물을 들이마시는 듯한 소리를 내는 행동


- 훌쩍거리기 또는 콧소리 내기(Nasal Sounds): 코에서 나는 이상한 소리를 내는 행동


- 동물 소리 내기(Animal Sounds): 개 짖는 소리, 고양이 울음소리 등 특정한 소리를 내는 행동

 

(2) 복합 음성 틱(Complex Vocal Tic)

복합 음성 틱은 특정한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거나 욕설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말과 관련된 틱
- 반복적인 단어 말하기(Palilalia): 본인이 방금 한 말을 반복하는 행동


- 남이 한 말을 따라 하기(Echolalia): 다른 사람이 한 말을 반복하는 증상


- 욕설 틱(Coprolalia):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욕설이나 불쾌한 말을 갑자기 내뱉는 행동


- 무의미한 문장 반복하기(Meaningless Phrases): "안녕!", "괜찮아!", "가자!" 같은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는 행동

 

틱의 진행 과정과 심각도

틱은 대개 어린 시절(3~7세)에 시작되며, 청소년기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이 되어서는 증상이 감소하거나 사라질 수 있지만,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틱의 시작: 대개 3~7세 사이에 발생하며, 초기에는 눈 깜빡임과 같은 단순 운동 틱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틱의 변화: 나이가 들면서 틱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청소년기: 일반적으로 10~12세에 증상이 가장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성인기: 성인이 되면서 증상이 감소하거나 사라지지만,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틱을 악화시키는 요인

틱은 스트레스, 수면 부족, 자극적인 환경 등으로 인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스 및 불안


- 피로 및 수면 부족


- 긴장되는 상황(시험, 발표 등)


- 자극적인 환경(소음, 번쩍이는 빛 등)


- 과도한 집중(특정 게임이나 활동을 오래 할 때)

 

동반 증상

뚜렛 증후군은 강박장애(OC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불안장애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강박장애(OCD)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불안장애


- 우울증


- 충동조절장애

 

마무리

뚜렛 증후군은 반복적이고 비자발적인 틱을 증상으로 하는 신경발달 장애로, 어린 시절에 발병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뚜렛 증후군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마다 증상의 강도와 유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초기 단계에서 간단한 형태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더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뚜렛증후군의 원인 | 유전, 환경 등

 

뚜렛증후군의 원인 | 유전, 환경 등

뚜렛증후군의 원인을 알아보자뚜렛증후군(Tourette syndrome, TS)은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으로, 주로 어린 시절에 발병하여 반복적이고 비자발적인 운동 틱(motor tic)과 음성 틱(vocal tic)이 특징적으로

mustrep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