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 알아보기

by infsmoo 2025. 5. 6.
반응형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을 알아보자

이비인후과는 귀, 코, 목 및 두경부 영역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비인후과의 주요 진료 영역, 질환, 진단 및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이비인후과란?
  2. 이과
  3. 비과
  4. 인후과
  5. 두경부외과
  6. 진단 및 검사
  7. 치료 및 수술
  8. 마무리

 

이비인후과란?

이비인후과(Otolaryngology)는 귀, 코, 목, 즉, "이비인후" 영역을 중심으로 머리와 목 부위의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과입니다.

정식 명칭은 이비인후-두경부외과(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로, 내과적 진료뿐 아니라 외과적 수술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이과

1. 외이질환

- 외이도염: 흔히 '수영자 귀'라고도 불리며,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 귀지과다: 귀지가 외이도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청력 저하나 이물감 유발.
- 외이도 종양: 양성 또는 악성 종양 발생 가능.

 

2. 중이질환

- 중이염: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중이의 염증. 급성/만성으로 구분.
- 유착성 중이염: 중이강 내부의 압력 저하로 고막이 내측으로 유착.
- 고실경화증: 이소골(특히 등자골)의 경화로 인한 전음성 난청.

 

3. 내이질환

- 감각신경성 난청: 달팽이관이나 청신경 손상에 의한 청력 저하.
- 이명: 외부 자극 없이 귀에서 나는 소리 인식.


- 전정기관질환(어지럼증)
  -양성돌발체위성현훈(BPPV): 가장 흔한 말초성 현훈.
  - 메니에르병: 내림프액 증가로 인한 어지럼, 이명, 난청 3대 증상.

 

4. 청각재활 및 수술

- 보청기 피팅
- 인공와우이식: 심한 난청 또는 농아 환자에게 시행.

 

 

비과

1. 비염

- 알레르기성 비염: 꽃가루, 먼지 진드기 등 알레르기 항원에 의한 비염.
- 비후성 비염: 지속적 염증으로 비갑개 점막 비후.
- 혈관운동성 비염: 비자극성 비염, 자율신경계 이상 원인.

 

2. 부비동 질환

- 부비동염: 흔히 말하는 축농증.
  - 급성/만성 구분.
  - 내시경 부비동 수술(ESS)로 치료.

- 코폴립(Nasal polyps): 만성 염증에 의한 비강/부비동 점막의 증식.

 

3. 비중격 질환

- 비중격만곡증: 비강을 나누는 연골/골 구조가 휘어져 비폐색 유발.

- 비중격천공: 외상, 수술, 약물 남용 등으로 생김.

 

4. 후각 장애

- 바이러스 감염, 외상, 퇴행성 질환 등으로 인해 후각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 후각 기능 평가: UPSIT, Sniffin’ sticks, T&T법 등 사용.

 

 

인후과

1. 인두질환

- 인두염: 감기와 함께 흔히 나타나는 급성염증.
- 편도선염: 재발성일 경우 편도절제술 고려.
-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 구개편도, 설편도 비대, 비폐색 등이 원인.
  -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CPAP, UPPP 수술 등으로 치료.

 

2. 후두질환

- 성대결절, 성대폴립, 성대낭종: 음성 남용으로 인한 양성 병변.
- 후두암: 흡연이 주요 원인, 조기 발견 시 레이저 수술 가능.
- 성대 마비: 신경 손상으로 발생, 발성장애 유발.

 

3. 연하장애

- 뇌졸중 후유증, 신경근 질환 등으로 발생.
- 비디오투시연하검사(VFSS)로 진단, 재활치료 시행.

 

 

두경부외과(Head and Neck Surgery)

1. 종양

- 갑상선 결절, 암: 초음파, 세침흡인검사로 진단.
- 타액선 종양: 이하선, 턱밑샘 등에서 발생.
- 경부 림프절 전이: 후두암, 인두암의 전이 가능성 있음.
- 두경부암: 설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등.

 

2. 외상 및 재건

- 안면골 골절: 비골, 상악골, 하악골 등.
- 재건수술: 피판술, 미세혈관수술 포함.

 

 

진단 및 검사

- 이경검사: 외이도와 고막 확인.
- 청력검사: 순음청력검사, 어음청력검사 등.
- 평형기능검사: 어지럼증의 원인 분석.
- 비내시경: 비강과 부비동 상태 직접 확인.
- 후두내시경: 성대 및 후두 구조 확인.
- 초음파, CT, MRI: 두경부 질환의 영상학적 평가.
- 수면다원검사(PSG): 수면무호흡증 진단.

 

치료 및 수술

- 내과적 치료: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점비제 등.
- 외과적 수술:
  - 고막성형술, 이소골재건술, 인공와우이식술
  - 비중격교정술, 비갑개성형술, ESS
  -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 후두미세수술(Microlaryngoscopy)
  - 갑상선절제술, 이하선절제술
  - 경부절제술(Neck dissection)

 

마무리

이비인후과는 귀, 코, 목이라는 신체의 기본적인 감각과 생명 유지에 직결되는 기관들을 담당하는 만큼, 환자의 삶의 질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진료과입니다.

청력, 후각, 음성, 연하, 호흡, 균형 등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능들이 이비인후과의 관리 대상이며, 이를 통해 단순한 증상 완화뿐 아니라 장기적인 건강 관리와 재활까지 아우르는 포괄적 접근이 가능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내과와 이비인후과의 차이점 알아보기

 

내과와 이비인후과의 차이점 알아보기

내과와 이비인후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내과와 이비인후과는 다루는 신체 부위, 진단 및 치료 방식, 전문 분야, 교육 과정, 사용 장비, 환자 유형 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내과

mustrep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