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의 진료 과목을 알아보자
내과는 인간의 내부 장기와 기능, 질환을 다루는 분야로, 외과처럼 수술보다는 약물치료, 생활습관 개선, 시술 등을 통해 질병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과의 세부 진료 분야와 주요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순환기내과(Cardiology)
- 호흡기내과(Pulmonology)
- 소화기내과(Gastroenterology)
- 내분비내과(Endocrinology)
- 신장내과(Nephrology)
- 류마티스내과(Rheumatology)
- 혈액종양내과(Hematology & Oncology)
- 감염내과(Infectious Disease)
- 마무리
순환기내과(Cardiology)
심장과 혈관 관련 질환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고혈압(Hypertension)
혈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
원인은 유전, 스트레스, 짠 음식,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있습니다.
합병증으로 심부전, 뇌졸중, 신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생활습관 교정과 항고혈압제를 사용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는 질환입니다.
협심증은 운동 시 흉통이 나타나고, 심근경색증은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상태입니다.
치료로는 아스피린, 스텐트 시술, 심장우회술(CABG)을 진행합니다.
부정맥(Arrhythmia)
심장의 리듬 이상으로, 심방세동, 심실빈맥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항부정맥제, 전기충격 요법, 심박동기 삽입 등을 합니다.
심부전(Heart Failure)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로, 호흡곤란, 부종,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는 이뇨제,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를 사용합니다.
호흡기내과(Pulmonology)
폐와 기도 관련 질환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천식(Asthma)
기도의 만성 염증으로 인해 기관지가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기침, 쌕쌕거림,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흡입 스테로이드와 기관지확장제로 치료합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의 탄력이 줄어드는 질병으로, 주로 흡연이 원인입니다.
증상으로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금연, 흡입제, 산소 치료로 관리합니다.
폐렴(Pneumonia)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의한 폐 염증으로, 고열, 기침,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항생제, 해열제, 수액으로 치료합니다.
폐결핵(Tuberculosis)
결핵균에 의한 만성 감염병으로, 전염성이 강합니다.
증상은 피로, 야간 발한,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항결핵제 복합요법(6개월 이상)으로 치료합니다.
소화기내과(Gastroenterology)
소화기관 관련 질환을 진료합니다.
대표 질환
위염 / 위궤양(Gastritis / Ulcer)
위 점막이 자극받아 염증이나 궤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 스트레스, 진통제 과다 복용이 원인입니다.
PPI(프로톤 펌프 억제제), 제산제,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역류성 식도염(GERD)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생기는 염증으로, 속쓰림, 트림, 가슴통증이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PPI와 식습관 개선으로 치료합니다.
간염(Hepatitis A, B, C 등)
바이러스에 의한 간의 염증으로, 급성과 만성이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와 백신 접종으로 관리합니다.
간경변(Liver Cirrhosis)
간이 만성적으로 손상되어 섬유화된 상태입니다.
만성 B형/C형 간염, 알코올이 원인입니다.
합병증으로는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혼수가 있습니다.
췌장염(Pancreatitis)
급성 또는 만성으로 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알코올, 담석이 원인이고, 상복부 통증, 구토, 발열이 나타납니다.
금식, 수액 치료, 진통제로 관리합니다.
내분비내과(Endocrinology)
호르몬 분비 기관 관련 질환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당뇨병(Diabetes Mellitus)
인슐린의 분비 부족 또는 작용 저하로 혈당이 상승하는 질환입니다.
제1형은 인슐린 의존형이고, 제2형은 생활습관 관련입니다.
합병증으로는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이 있습니다.
인슐린, 경구혈당강하제, 식이조절로 치료합니다.
당뇨병의 전조증상과 초기증상
당뇨병의 전조증상과 초기증상 알아보기당뇨병의 초기에 증상을 인지하고 조기 진단을 통해 관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은 조용한 암살자라고 불릴 정도로 증상이 뚜렷하지 않
mustrepo.com
갑상선 기능 항진증 / 저하증
갑상선호르몬 과다 또는 부족으로 발생합니다.
항진증은 체중감소, 손떨림, 불안을, 저하증은 무기력, 추위민감, 체중 증가를 유발합니다.
항갑상선제, 레보티록신으로 치료합니다.
골다공증(Osteoporosis)
뼈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질환으로, 폐경기 여성과 고령자에서 흔합니다.
칼슘, 비타민 D, 비스포스포네이트로 치료합니다.
신장내과(Nephrology)
신장(콩팥)의 기능 이상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
사구체 여과율(GFR) 저하로 체내 노폐물이 축적됩니다.
진행 시 투석, 신장이식이 필요합니다.
원인은 당뇨, 고혈압, 사구체신염입니다.
급성 신손상(AKI)
짧은 시간에 신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질환으로, 저혈압, 약물, 감염이 원인입니다.
원인 제거와 수액 조절로 치료합니다.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사구체(신장의 여과기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혈뇨, 단백뇨, 부종이 나타납니다.
면역억제제와 스테로이드로 치료합니다.
류마티스내과(Rheumatology)
자가면역 질환 및 관절 관련 질환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RA)
자가면역에 의해 관절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손가락, 손목, 발가락 관절 변형이 나타납니다.
DMARDs(질병 조절 약물)와 생물학적 제제로 치료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이란?류마티스 관절염(RA)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주로 중추성 관절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체내의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정한 원인이 명확히
mustrepo.com
전신홍반루푸스(SLE)
온몸의 조직과 장기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피부 발진, 피로, 관절통, 신장염 등이 나타납니다.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로 치료합니다.
통풍(Gout)
요산이 관절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기에는 극심한 통증이 주로 엄지발가락에 나타납니다. 콜히친, 요산강하제, 식이 조절로 치료합니다.
통풍의 자가진단과 체크리스트
통풍 자가진단 알아보기통풍은 주로 관절에 심한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대사질환으로, 요산이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발가락 관절에 통증이 집중되는 특징이 있으며, 갑작스러운 발병
mustrepo.com
혈액종양내과(Hematology & Oncology)
혈액질환과 암을 다룹니다.
대표 질환
빈혈(Anemia)
적혈구 수가 부족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철결핍성, 재생불량성, 용혈성 등이 있습니다.
철분제, 수혈, 원인 치료로 관리합니다.
백혈병(Leukemia)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으로, 급성/만성, 골수성/림프성으로 구분됩니다.
항암치료와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치료합니다.
악성종양(암)
다양한 장기의 암을 약물, 항암제, 면역요법으로 치료합니다.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췌장암 등이 있습니다.
감염내과(Infectious Disease)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에 의한 감염 질환을 전문으로 다룹니다.
대표 질환
폐렴, 결핵, 대상포진, 독감, HIV/AIDS, 말라리아, 장티푸스, 뎅기열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백신, 감염 관리로 이루어집니다.
마무리
내과는 우리 몸의 내부 장기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비수술적 방법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핵심적인 의학 분야입니다.
순환기, 호흡기, 소화기, 내분비, 신장, 류마티스, 혈액종양, 감염내과 등 세부 전공마다 특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죠.
각 질환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을 이해하면 적절한 시기에 전문의를 찾아 건강을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평소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내과 질환을 예방하고, 필요하다면 주저하지 말고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 알아보기 (0) | 2025.05.06 |
---|---|
내과와 이비인후과의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5.05.04 |
경두개 직류 자극술(tDCS)의 부작용 알아보기 | 피부, 신경, 심리 등 (0) | 2025.04.29 |
경두개 직류 자극(tDCS) 효과가 무엇인가? (0) | 2025.04.28 |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알아보기 | 원리, 방법, 한계 등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