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치과에서는 어떤 진료를 할 수 있을까?

by infsmoo 2025. 5. 11.
반응형

 

치과의 진료 과목을 알아보자

치과는 ‘이가 아프면 치료한다’는 개념을 넘어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치과의 주요 진료 과목을 세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보존과
  2. 보철과
  3. 구강악안면외과
  4. 치주과
  5. 소아치과
  6. 교정과
  7. 구강내과
  8. 예방치과
  9. 마무리

 

 

보존과

주요 목표: 치아 구조 보존 및 기능 회복

충치(우식증), 마모, 파절 등으로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여 원래의 형태와 기능을 복원하는 과목입니다.

대표적 치료는 레진, 아말감, 인레이/온레이, 크라운(금관) 등이 있으며, 신경치료(근관치료)도 포함됩니다.

보존과는 일반적으로 “충치 치료”, “신경 치료”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 범위는 훨씬 넓습니다.

 

세부 영역

- 우식 치료: 충치 제거 후 수복재를 이용해 형태 복원.
- 근관 치료(신경치료): 치수에 염증이 생기거나 괴사 했을 때 시행. 미세기구와 첨단 영상장비 사용.
- 수복 치료: 직접 수복(레진)과 간접 수복(인레이, 크라운 등)으로 나뉨.

 

보철과

주요 목표: 상실된 치아 또는 구강 구조 복원

치아가 결손 되었을 때 인공적인 수복물을 통해 치아를 복원합니다.

크라운, 브리지, 틀니(가철성/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사용합니다.

 

세부 영역

- 고정성 보철: 크라운, 브릿지 등 치아에 고정된 수복물.
- 가철성 보철: 환자가 탈착 가능한 틀니.
- 임플란트 보철: 인공 치근에 결합된 보철물. 외과적 수술과 밀접한 연관.

 

구강악안면외과

주요 목표: 수술적 처치를 통해 구조적 문제 해결

구강 내외의 외과적 병변이나 외상, 종양 등을 다루는 외과 전문 분야입니다.

발치, 사랑니 발치, 악골 골절, 양악 수술, 턱관절 수술, 종양 절제, 낭종 제거, 임플란트 식립 등이 있습니다.

 

세부 영역

- 매복치 발치: 뼈 속에 묻힌 사랑니 등 복잡한 발치.
- 양악 수술: 턱의 위치를 교정하여 기능 및 심미 개선.
- 종양 및 낭종 수술: 양성/악성 병소의 제거 및 재건 수술.
- 악관절 장애 치료: 턱관절 통증, 개구 장애 등을 수술적으로 또는 비수술적으로 치료.
- 재건 수술: 외상 또는 종양 제거 후 안면 골격 복원.

 

치주과

주요 목표: 치아 주변 조직(잇몸, 치조골) 치료

잇몸 질환(치은염, 치주염)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스케일링, 치근활택술, 잇몸 수술(치주 수술), 치조골 이식, 임플란트 관련 수술 등을 시행합니다.

 

세부 영역

- 비외과적 치료: 스케일링, 루트플래닝 등.
- 외과적 치료: 잇몸을 절개해 염증 제거, 치조골 재형성.
-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임플란트 주위 염증 치료.
- 치주조직 재생술: 조직유도재생술(GTR), 뼈이식 등.

 

소아치과

주요 목표: 성장기 아동의 구강 건강 관리

0세부터 청소년기까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충치 예방, 조기 치료, 발육 모니터링을 합니다.

 

세부 영역

- 우식 예방: 불소도포, 실란트 등.
- 소아 전용 수복 치료: 유치 치료, 레진, 크라운 등.
- 성장 발육 평가 및 관리: 치열과 턱 성장 모니터링.
- 행동조절: 공포심을 줄이기 위한 테크닉 및 진정요법.

 

교정과

주요 목표: 치아와 턱의 배열을 바로잡음

부정교합, 치아 배열 문제, 턱뼈 문제 등을 교정장치로 치료합니다.

미용뿐 아니라 저작, 발음, 위생 문제 해결에도 중점을 둡니다.

 

세부 영역

- 고정식 교정 장치: 브라켓, 와이어 등.
- 가철식 장치: 투명교정장치(인비절라인 등).
- 악교정 치료: 턱뼈 성장을 유도하거나 억제.
- 외과적 교정: 양악 수술과 병행.

 

구강내과

주요 목표: 구강 통증, 병변, 전신질환과 연관된 문제 해결

구강 내 통증, 구강작열감증후군, 턱관절 장애, 입마름, 구강 점막 질환 등을 진단하고 약물치료 중심으로 관리합니다.

 

세부 영역

- 턱관절 질환 관리: 스플린트, 약물치료, 물리치료.
- 구강 점막 질환 진단: 백반증, 편평 태선, 구강암 등.
- 전신질환과의 연계 진료: 당뇨, 류마티스 등과 연관된 구강 증상.
- 신경성 구강 통증 치료: 구강안면 통증, 삼차신경통 등.

 

예방치과

주요 목표: 질환 예방 및 건강한 구강 유지

치과의 “미리 막자” 개념입니다. 정기 검진, 구강 위생 관리, 예방처치 등을 포함합니다.

 

세부 영역

- 정기 구강검진
- 구강위생 교육: 올바른 칫솔질, 치실, 구강청결제 사용법.
- 불소도포, 실란트: 우식 예방.
- 위험도 평가 기반 맞춤형 관리: 개인 구강 건강 이력 분석.

 

 

마무리

지금까지 치과의 진료 영역과 세부 내용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이가 썩어서 치과에 가는 것도 맞지만 치과에서는 그 외에 다양한 분야들을 진료한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