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소아과의 진료 과목 알아보기

by infsmoo 2025. 5. 8.
반응형

소아과

 

소아과의 진료과목을 알아보자

소아과는 태아기부터 청소년기(보통 18세 전후)까지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전반을 다루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분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아과의 주요 진료 영역과 세부 분과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소아과란?
  2. 소아과의 주요 진료 영역
  3. 일반 소아과
  4. 신생아학
  5. 소아심장학
  6. 소아신경학
  7. 소아내분비학
  8. 소아혈액종양학
  9. 소아호흡기학
  10. 소아소화기학
  11. 소아감염병학
  12. 소아알레르기 및 면역학
  13. 소아정신과 / 발달 및 행동 소아과
  14. 소아유전 및 대사질환
  15. 소아외과 및 협진 영역
  16. 기타 특수 진료
  17. 마무리

 

소아과란?

소아과는 라틴어 paidiatrikos에서 유래되었으며, '어린아이를 치료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치료를 넘어 예방, 성장 발달 모니터링, 건강 증진, 만성질환 관리, 정신건강 및 사회적 문제까지 다루는 종합 진료과입니다.

 

소아과의 주요 진료 영역



소아과는 크게 다음과 같은 분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일반 소아과
  • 신생아학
  • 소아심장학
  • 소아신경학
  • 소아내분비학
  • 소아혈액종양학
  • 소아알레르기 및 면역학
  • 소아감염병학
  • 소아신장학
  • 소아소화기학
  • 소아호흡기학
  • 소아류마티스학
  • 소아정신과 / 발달 및 행동 소아과
  • 소아외과 / 협진분야

 

일반 소아과

모든 소아과의 기본으로, 예방접종, 건강검진, 감기, 장염, 성장 평가, 학습·행동 상담 등을 합니다.

  • 성장발달 체크: 키, 몸무게, 머리둘레 측정, 성장곡선 비교
  • 예방접종: 국가예방접종표에 따른 백신 스케줄 관리
  • 급성 질환: 감기, 열, 기침, 설사, 복통, 귀 통증, 두드러기 등
  • 만성 질환 관리: 아토피피부염, 천식, 변비, 비염 등
  • 육아 상담: 수면 문제, 이유식, 대소변 가리기, 울음 관리 등

 

신생아학

출생 직후~생후 4주까지의 아기를 전문으로 진료하며,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주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 미숙아 관리: 저체중아, 조산아
  • 호흡곤란 증후군: 폐 미성숙으로 인한 호흡 문제
  • 신생아 황달, 패혈증, 저혈당
  • 선천성 기형 진단 및 치료
  • 산전 진단 연계: 태아초음파에서 발견된 질환 관리

 

소아심장학

선천성 심장질환과 후천성 심장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입니다.

  • 심잡음, 청색증, 심장비대
  • 선천성 심장질환: 심실중격결손(VSD), 심방중격결손(ASD), 팔로사징후 등
  • 부정맥, 심근염, 심내막염
  • 심장초음파, 심전도, 홀터 모니터링

 

소아신경학

아이의 뇌, 척수, 신경, 근육 관련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야입니다.

  • 간질/경련
  • 발달지연, 언어지연
  • 근육병, 뇌성마비
  • 두통, 편두통, 틱장애
  •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및 ADHD와의 협진

 

소아내분비학

아이들의 호르몬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전문분야입니다.

  • 성조숙증, 저신장
  • 성장호르몬 결핍, 갑상선 기능 이상
  • 소아비만, 당뇨병 (제1형, 제2형)
  • 칼슘대사 이상, 부신질환
  • 월경이상, 생식기 발달 문제

 

소아혈액종양학

아이들의 빈혈, 출혈, 혈액암 등 혈액 질환과 종양성 질환을 진료합니다.

  • 빈혈, 철결핍, 지중해빈혈
  • 혈우병, 혈소판감소증
  • 백혈병, 림프종, 신경모세포종
  • 항암치료, 조혈모세포이식, 완화의료

 

소아호흡기학

호흡기 질환, 폐질환, 수면 문제를 진료하는 분야입니다.

소아호흡기학

  • 천식, 기관지염, 폐렴
  • 수면무호흡, 야간기침
  • 기침이 오래가는 경우 (만성기침)
  • 기도기형, 섬모질환
  • 폐기능검사 및 알레르기 검사 시행

 

소아소화기학

아이의 위장관, 간, 췌장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룹니다.

  • 만성 복통, 변비, 설사
  • 소화흡수장애, 글루텐 알레르기
  • 소아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 소아 간염, 간 기능 이상, 황달
  • 내시경(위/대장), 생검 수행

 

소아감염병학

세균, 바이러스, 진균 감염 및 백신 질환에 초점을 맞춥니다.

  • 열의 원인 평가 (열성 질환 감별)
  • 소아 COVID-19, RSV, 독감
  • 수막염, 폐렴, 패혈증 등 중증 감염
  • 결핵 관리, 항생제 스튜어드십
  • 면역저하 환아의 감염 관리

 

소아알레르기 및 면역학

아토피, 비염, 천식, 음식알레르기, 면역결핍질환 등을 다룹니다.

  • 알레르기성 비염, 피부염, 두드러기
  • 음식 알레르기 (우유, 달걀, 땅콩 등)
  • 면역 기능 저하 평가 (선천성 면역결핍)
  • 면역치료, 항히스타민제 조절

 

소아정신과 / 발달 및 행동 소아과

아이의 인지, 언어, 사회성, 정서 및 행동 발달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합니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틱장애, 불안장애, 우울증
  • 발달지연, 언어지연, 학습장애
  • 양육 상담 및 부모 교육

 

소아유전 및 대사질환

선천성 유전질환과 대사이상을 진단하고 관리합니다.

  • 선천성 유전질환 감별 (다운증후군, 터너증후군 등)
  • 선천성 대사이상: 페닐케톤뇨증, 갈락토세미아
  • 신생아 선별검사 후 정밀진단
  • 가계력 기반 유전상담

 

소아외과 및 협진 영역

소아외과 및 관련 협진 분야를 포함합니다.

  • 소아외과: 서혜부 탈장, 음낭수종, 장중첩증, 선천성 기형 수술
  • 소아이비인후과: 중이염, 편도 비대, 청각장애
  • 소아안과/정형외과: 사시, 성장판 장애, O자 다리 등

 

기타 특수 진료

다양한 특수 상황에서의 진료를 포함합니다.

  • 소아 응급의학: 외상, 고열 경련, 쇼크, 중독 등
  • 청소년 의학: 사춘기 문제, 정신건강, 성교육, 자해/자살 상담
  • 학교검진 협력: 건강검진, 예방교육, 약 복용 지도

 

마무리

소아과는 단순히 아이들의 감기만 치료하는 곳이 아니라, 아이의 생애 초기부터 청소년기까지의 모든 건강 문제를 다루는 매우 방대한 전문 분야입니다.

각 세부 분과는 전문의가 따로 있을 만큼 세밀하고 깊이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아과의 진료 과목과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에 알아보기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에 알아보기

이비인후과의 진료과목을 알아보자이비인후과는 귀, 코, 목 및 두경부 영역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분야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비인후과의 주요 진료 영역, 질환, 진단 및 치료 방법, 등

mustrep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