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소아 틱 장애의 원인 | 유전, 환경, 심리 등

by infsmoo 2025. 3. 6.
반응형

 

어린이

 

소아 틱 장애의 원인을 알아보자

틱 장애(Tic Disorder)는 소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신경정신과적 질환으로, 불수의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운동 틱)이나 소리(음성 틱)가 특징입니다.

 

틱 장애의 원인은 단일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 신경생물학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인성(multifactorial) 질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아 틱 장애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유전적 요인(Genetic Factors)
  2. 신경생물학적 요인(Neurobiological Factors)
  3.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s)
  4. 결론

유전적 요인(Genetic Factors)

틱 장애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유전적 요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틱 장애는 가족력의 영향을 받으며, 부모나 형제자매 중에 틱 장애 또는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 유전적 연관성 연구

틱 장애와 관련된 유전적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쌍둥이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습니다.

 

  •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틱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쌍둥이가 틱 장애를 가질 확률이 50~77% 라고 합니다.

 

  •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에는 확률이 10~23%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연구 결과는 틱 장애가 유전적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2. 특정 유전자 변이

틱 장애와 연관된 특정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SLITRK1, CNTNAP2, HDC(Histidine Decarboxylase) 등의 유전자가 틱 장애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SLITRK1 유전자: 신경 세포의 성장 및 연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이며, 틱 장애 및 뚜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과 연관이 있습니다.

 

  • CNTNAP2 유전자: 신경 발달과 시냅스 연결에 관여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및 강박장애(OCD)와도 관련이 있는 유전자입니다.

 

  • HDC 유전자: 히스타민 생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며, 히스타민 시스템이 틱 장애의 병리학적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개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틱 장애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Neurobiological Factors)

틱 장애는 주로 뇌의 특정 영역에서 기능적 및 구조적 이상이 발견되는 신경생물학적 장애입니다.

1. 기저핵(Basal Ganglia) 이상

기저핵은 운동 조절과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구조로, 틱 장애 환자에서 기저핵의 기능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기저핵 내의 선조체(striatum)에서 도파민(Dopamine) 신호 전달이 과활성화되면 틱 증상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기능적 MRI 연구에서는 틱을 하는 동안 기저핵이 과활성화되거나 비정상적인 연결 패턴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2. 도파민(Dopamine) 시스템의 이상

도파민은 운동 조절과 보상 시스템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입니다.

 

  • 틱 장애는 도파민 과활성이 주요 원인입니다.

 

  • 도파민 수용체 D2(D2 Receptor)가 과활성화될 경우, 불수의적인 운동이 증가하여 틱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틱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인 도파민 차단제(예: 할로페리돌, 리스페리돈)는 도파민 활성을 감소시켜 증상을 완화합니다.

 

3. 세로토닌(Serotonin) 및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시스템 이상

  • 세로토닌(Serotonin) 시스템의 이상은 틱 증상 및 강박강애(OCD)와 관련이 있습니다.

 

  • 글루타메이트(Glutamate)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틱 장애 환자의 뇌에서는 글루타메이트 신호 전달의 조절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s)

유전적 및 신경생물학적 요인 외에도 환경적 요인이 틱 장애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1. 출생 전후 환경

출생 전후 환경이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쳐 틱 장애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임신 중 흡연, 음주, 약물 사용: 태아의 신경 발달을 방해하여 틱 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임신 중 스트레스: 태아의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시켜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출생 중 저산소증 또는 저체중 출생: 뇌 발달 과정에서의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감염 및 면역 반응

일부 연구에서는 연쇄상구균 감염과 틱 장애 발병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 PANDAS(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 이론에 따르면, 연쇄상구균 감염 후 면역 반응이 뇌의 기저핵을 공격하여 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타 바이러스 감염(예: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또한 신경 염증을 유발하여 틱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 스트레스 및 사회적 요인

  • 스트레스는 틱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킵니다.

 

  • 학교, 가족 관계, 친구 관계에서의 갈등이나 과도한 기대감은 틱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악화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틱 장애는 단순한 하나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 보다는 유전적 요인, 신경생물학적 이상,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즉, 유전적으로 틱 장애에 대한 취약성을 가진 아이가 도파민 및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이 있는 상태에서 감염, 스트레스, 환경적 요인 등의 영향을 받으면 틱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커지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틱 장애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며, 틱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틱과 뚜렛증후군의 차이점 알아보기

 

틱과 뚜렛증후군의 차이점 알아보기

틱과 뚜렛증후군의 차이점을 알아보자틱은 갑작스럽고 반복적이며 비자발적인 움직임(운동 틱) 또는 소리(음성 틱)를 지칭하는 것이고, 뚜렛증후군(Tourette's Syndrome, TS)은 틱 장애의 한 종류로,

mustrep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