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치매 예방2 뇌 건강, 뇌졸중 치매 예방(생활편) 손가락 끝과 뇌의 밀접한 관계우리는 매일의 생활 속에서 손가락 끝을 사용하여 세세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나 휴대전화의 작은 키를 누르는 것도, 양복 단추를 잠그는 것도, 끈을 묶는 것도, 책장을 넘기는 것도 모두 손끝의 일입니다. 평소에 우리는 무심코 이런 작업을 해내고 있는데 사실 손가락 끝의 미묘한 움직임은 굉장히 많은 뇌신경세포에 의해서 통제가 되어야 가능하죠. 중장년이 됨에 따라 누구나 세세한 작업을 하기 어려워집니다. 그것은 나이가 들면서 신경 세포의 기능이 쇠약해져 손가락 끝의 감각이 무뎌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손가락 끝을 자주 움직이면 뇌를 자극해 신경세포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기억력이나 판단력과 관련된 아세틸콜린, 적극성과 관련된 노르아드레날린 등 뇌 내 신경.. 2023. 6. 28. 뇌 건강, 뇌졸중 치매 예방(음식편) 뇌와 건강의 밀접한 관계우리 뇌는 무게로 따지면 전체 체중의 약 2%에 불과하지만 식사 등에서 얻는 에너지의 약 18%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온몸의 모든 근육이 소비하는 에너지와 거의 맞먹을 정도입니다. 뇌가 이렇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은 수천 수백억 개라는 방대한 수의 신경세포의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입니다. 신경세포라는 것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전달하는 케이블과 같은 것입니다. 신경세포에는 많은 접점(시냅스)이 있고, 신경세포끼리 연결되어 정보교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시냅스 부분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세틸콜린이나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도파민 같은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마음과 감정의 영향우울증 상태가 되는 사람의 뇌에서는 노르아드.. 2023.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