뺨이 갑자기 부어오를 때 의심되는 질환을 알아보자
뺨이 갑자기 부어오르는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한 염증부터 심각한 전신 질환까지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뺨 부종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들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알레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
-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s)
- 외상 및 손상(Trauma & Injury)
-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s)
- 내분비 및 대사 질환(Endocrine & Metabolic Disorders)
- 종양 및 낭종(Tumors & Cysts)
-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
- 마무리
1. 알레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
알레르기는 특정 물질(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급성 혹은 만성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뺨이 갑자기 붓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얼굴, 입술, 눈 주변이 급격하게 부어오름
- 두드러기(urticaria) 발생
- 호흡곤란, 천명음(wheezing), 기관지 수축
- 혈압 저하로 인한 어지러움, 의식 저하
- 구토, 복통, 설사 등 위장관 증상
원인
- 특정 음식(땅콩, 해산물, 우유 등)
- 약물(페니실린, 아스피린 등)
- 벌독, 꽃가루, 라텍스
응급조치
- 즉시 응급실 방문
- 에피네프린(Epinephrine) 자가 주사(에피펜) 사용
(2) 혈관부종(Angioedema)
혈관부종은 피부 깊은 층(진피 및 피하조직)이 부어오르는 현상으로, 특히 얼굴, 입술, 눈꺼풀, 뺨에 영향을 줍니다.
- 가려움이 없는 부종이 특징
- 유전성 혈관부종(HAE, Hereditary Angioedema)은 심각한 후두 부종을 초래할 수 있음
-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
2.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s)
뺨이 부어오르는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감염입니다. 감염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염증 반응이 동반됩니다.
(1) 볼거리(Mumps,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는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입니다.
- 이하선(귀밑샘, parotid gland) 부종으로 인해 뺨이 부어오름
- 열, 근육통, 두통 등의 전신 증상 동반
- 심한 경우 고환염(orchitis), 뇌수막염(meningitis) 발생 가능
예방 및 치료
- MMR 백신 접종
- 대증 치료(해열제, 충분한 수분 섭취)
(2) 봉와직염(Cellulitis)
봉와직염은 피부 및 피하조직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 붉고, 따뜻하며, 통증이 있는 부종
- 발열 및 오한 동반 가능
- 원인균: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치료
- 경구 또는 정맥 항생제 치료
(3) 치아 감염 및 치주 질환
치아 감염으로 인해 뺨이 부을 수 있습니다.
- 치수염(pulpitis), 치근단 농양(periapical abscess), 치주염(periodontitis)
- 심한 경우 턱뼈(골수염, osteomyelitis)까지 감염 확산 가능
치료
- 치과 치료(신경 치료, 발치)
- 항생제 처방
3. 외상 및 손상(Trauma & Injury)
물리적인 충격, 수술 후 부기 등으로 인해 뺨이 부을 수 있습니다.
(1) 타박상(Contusion)
- 넘어지거나 맞아서 발생하는 연조직 손상
- 멍, 통증, 출혈 동반
(2) 치과 시술 후 부기
- 발치, 임플란트 수술 후 조직 반응
대처법
- 냉찜질(초기), 온찜질(48시간 이후)
- 소염진통제 복용
4.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s)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계가 자신의 세포를 공격하면서 염증과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전신홍반루푸스(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얼굴(특히 볼과 코)에 나비 모양 발진
- 관절통, 피로, 신장 질환 동반
(2)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 침샘 및 눈물샘이 공격받아 구강 건조, 안구 건조 발생
- 만성 이하선염으로 인해 뺨이 부을 수 있음
치료
- 면역억제제, 스테로이드 사용
5. 내분비 및 대사 질환(Endocrine & Metabolic Disorders)
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뺨이 부을 수도 있습니다.
(1)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 코티솔 과다로 인해 ‘달덩이 얼굴(moon face)’
- 중심성 비만, 고혈압, 골다공증 동반
(2) 갑상선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 점액수종(myxedema)으로 인한 얼굴 및 뺨 부종
- 피로, 체중 증가, 변비, 추위 민감
치료
- 원인 질환 치료(호르몬 보충)
6. 종양 및 낭종(Tumors & Cysts)
드물지만 종양이나 낭종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이하선 종양(Parotid Tumor)
- 양성(다형선종) 또는 악성(선암, 점액표피암 등)
- 초기에는 통증 없이 서서히 부어오름
(2) 피지낭종 (Sebaceous Cyst)
- 피지선이 막혀 발생하는 양성 낭종
- 감염 시 염증으로 인해 부종 심화
7.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
즉시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 호흡곤란, 의식 저하가 동반된 경우 (응급 상황)
- 고열, 심한 통증, 화농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 뺨 부기가 수일간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질 경우
-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부기가 있을 경우
마무리
뺨이 갑자기 부어오르는 증상은 비교적 가벼운 원인부터 심각한 질환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외상이나 감염에 의한 일시적인 부종일 수도 있지만, 알레르기 반응이나 내분비 질환,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전신적인 문제의 신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기가 단기간 내에 가라앉지 않거나, 통증·발열·호흡곤란 등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세요.
특히, 알레르기 반응이 심한 경우나 감염으로 인해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신속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몸에서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지 말고, 어떤 증상이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은 중독 알아보기 | 원인, 증상, 자가 진단, 치료 등 (0) | 2025.02.11 |
---|---|
참치 섭취하면 수은 중독? (0) | 2025.02.09 |
나트륨의 배출 원리 | 유입, 배출, 조절 (0) | 2025.02.07 |
짜게 먹었다면? 나트륨 배출 돕는 음식 & 생활 습관 (0) | 2025.02.06 |
몸속 나트륨, 쉽게 배출하는 방법! 실천 가능한 꿀팁 (0) | 2025.02.04 |